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2

그곳에서 1년을 보내며.. 작년 요맘때쯤 새롭게 회사를 이직 했다. 새로운 환경에서 일할 생각에 두근거리기도 했고 또 혹시나 이상한 사람이 있지 않을까 염려하며 그렇게 입사를 했더랬지.. 아 근데, 생전 태어 나서 처음 겪어보는 분위기에 매우 당황쓰(?) 나름 다양한 프로젝트를 하며 여기저기 이상한 상황, 많은 사람들을 경험해 봤다고 자부하는 사람인데 ㅋㅋㅋ 여긴.. 개인주의가 넘치다 못해 팀원이 누가 휴가를 썼는지도 모르는 ㅋㅋㅋㅋ 공유를 안해주는 분위기, 이건 뭐 나중에 누가 퇴사해도 모를꺼같달까?ㅋㅋ 초반엔 나도 이런 분위기를 바꾸어 보려고 노력했었다. 좋은 뉴스가 있으면 공유해주고 혁신적인 기술이 있으면 내가 맡은 서비스에도 적용해보려고 했고 효율적인 방향으로 가보려고 했으나,이게 참 조직의 문화는 나 혼자 바꾸려는고 해도.. 2025. 4. 2.
[AWS] 웹 공격에 캡차 추가하기 AWS 클라우드 환경에서 Webapp에서 공격이 가끔 들어와서 캡차기능을 검토하기 위해 정리하는 블로깅 보통 AWS WAF(Web Application Firewall)와 CloudFront를 활용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다.  ✅ 적용흐름Client → CloudFront → AWS WAF → ALB → Spring Boot   1. 공격 패턴 감지AWS WAF의 WebACL 또는 CloudWatch Logs에서 특정 공격 패턴(예: IP 주소, User-Agent, 요청 속도 등)을 감지. 2. WAF 에서 캡챠 활성화특정 조건(공격 패턴에 부합)에 해당하는 요청에 대해 WAF에서 캡차를 활성화. 3. 사용자 요청인증사용자가 캡차를 통과하면 정상적으로 요청 처리. 4. CloudFront 캐싱으로 효율성 .. 2024. 11. 24.
[AWS] ECS vs EKS aws 클라우드를 공부하면서 Docker 컨테이너를 오케스트레이션 하는 개념을 보다보니 ECS와 EKS 2가지 개념이 계속 나와 혼동되어 정리해본다. ✔️ ECS 와 EKS 정의Amazon ECS (Elastic Container Service)와 Amazon EKS (Elastic Kubernetes Service)는 AWS에서 제공하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다. 둘 다 컨테이너를 관리하지만, 기술 스택과 사용 사례에서 차이가 있다.  ✓ 1. ECS와 EKS의 개념적 차이특징Amazon ECSAmazon EKS기반 기술AWS가 자체 개발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CNCF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Kubernetes를 관리형으로 제공.운영 방식AWS 환경에 최적화.멀티클라우드/온프레미스 환경과 호환... 2024. 11. 24.
[AWS] 내맘대로 AWS Cloud 구축/설계하기(2) 이번엔 지금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를 한번 개선해보고자 간단하게 혼자서 공부할겸 건드려본다! 현재 서비스 구조Client → CloudFront → S3 (정적 파일) → ALB → EC2(server1~3)  서비스위치(EC2)특징webappserver2, server3타임리프 + Spring Boot (정적 파일 포함)adminserver1타임리프 + Spring Boot (정적 파일 포함)dataserver1, 2, 3REST API 서비스(SpringBoot)recommandserver2, server3캐싱(ehCache)batchserver1Spring 스케줄러 기반 통계 배치.channelserver2, server3채팅 웹소켓 + RabbitMQ  대략 간단하게 이런 구조로 되어있다.  ✓ 문.. 2024. 11. 23.